재활용, 올바른 순서대로 하고 계신가요?


재활용은 다들 실천하려고 하지만 막상 하려면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이게 플라스틱인지 비닐인지, 유리병 뚜껑은 빼야 하는지 고민되기도 하죠.
이번 글에서는 단계별로 정확하게 재활용하는 방법을 준비했습니다.
끝까지 읽고 나면 재활용이 훨씬 간단하고 수월해질 거예요.


1. 내용물을 비우고, 이물질 제거부터

재활용이 되려면 무엇보다 깨끗해야 합니다.
음식물이나 액체가 남아 있으면 일반 쓰레기로 처리될 수밖에 없어요.

우유팩은 물로 헹군 후 말려야 하고, 소스나 기름이 묻은 플라스틱 용기는 꼭 씻어내야 해요.
깨끗이 비우는 것이 재활용의 첫 단계입니다.


2. 모양이 아닌 재질별로 분리하세요

모양이 아니라 재질을 기준으로 분리해야 해요.
예를 들어 우유팩은 일반 종이와 다르기 때문에 따로 배출해야 하고,
포장지류는 플라스틱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비닐인 경우가 많아요.

아래 표를 참고해 보세요.

품목 재질 유형 분리배출 분류
우유팩 종이(코팅됨) 종이팩으로 따로 배출
플라스틱 포장지 연질 플라스틱(비닐) 비닐류로 분리 배출
PET병 경질 플라스틱 플라스틱류로 분리 배출

3. 라벨과 뚜껑은 반드시 분리하기

PET병처럼 뚜껑, 라벨, 본체가 각기 다른 재질로 된 경우엔
각 부분을 따로 분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투명 PET병은 라벨과 뚜껑을 제거한 뒤 병만 따로 배출하는 게 원칙이에요.
라벨은 절취선을 따라 떼어내고, 뚜껑은 플라스틱류로 따로 분리!
알루미늄 캔에 붙은 종이 라벨도 확인해서 제거해 주세요.


4. 플라스틱은 재질별로 나누면 더 좋아요

모두 플라스틱이라고 한꺼번에 버리면 안 돼요.
PET, PP, PS처럼 다양한 재질이 섞이면 재활용 품질이 낮아지거든요.
보통 제품 바닥에 재질 코드가 적혀 있어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재질 코드 명칭 예시 품목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생수병, 음료수 병 등
PP 폴리프로필렌 요구르트 용기, 아이스크림 통 등
PS 폴리스타이렌 완충 포장재, 컵라면 용기 등

5. 종이는 젖지 않게, 테이프는 제거

깨끗한 종이는 재활용되지만, 젖거나 더러워지면 재활용이 불가능해요.
택배 상자는 테이프와 송장을 제거한 후 납작하게 접어 배출하세요.

코팅된 종이, 영수증, 휴지는 종이처럼 보여도 대부분 재활용이 안 됩니다.
특히 영수증은 감열지라서 재활용할 수 없어요.


6. 유리와 캔은 헹구고, 부품은 분리

유리병은 내용물을 비우고 헹군 후, 라벨을 제거해 주세요.
뚜껑은 다른 재질일 수 있으므로 꼭 분리해야 해요.

캔류는 눌러서 부피를 줄이면 공간도 절약되고 수거도 편리해요.
알루미늄과 철 캔은 함께 배출해도 괜찮습니다.


7. 헷갈릴 땐, 제품 라벨을 확인하세요

요즘 대부분의 포장재에는 재활용 마크와 재질 표시가 있어요.
삼각형 안에 재질 코드가 들어 있고, 아래쪽에 배출 방법이 적혀 있어요.

예를 들어 PET병엔 ‘플라스틱(PET), 라벨 제거 후 배출’이라고 써 있어요.
제품에 적힌 내용을 꼼꼼히 보면 실수 없이 배출할 수 있습니다.


8. 마지막 정리: 한눈에 보는 완벽한 분리배출 순서

다음 표 하나면 마무리 끝!
오늘부터는 이 순서를 따라 재활용해 보세요.

단계 해야 할 일 설명
1단계 내용물 비우고 헹구기 깨끗한 상태에서만 재활용 가능
2단계 재질별로 분류하기 겉모습이 아닌 재질 기준으로 구분
3단계 라벨 및 뚜껑 분리하기 서로 다른 재질은 각각 배출
4단계 종이는 젖지 않게, 테이프 제거 종이는 마른 상태로 깔끔하게 분리
5단계 제품 라벨 확인하기 표시된 정보 참고해서 정확히 배출


실내 공기 정화 식물, 어디에 두는 게 가장 좋을까? >


완벽한-재활용-분리배출